저자의 학교의 시험범위는 이렇다
1~4단원, 인권,헌법,기본권,경제,etc..
1단원 부터 알아보겠다
우선 천부인권이라는 말이 나온다
천은 하늘 천이고 부는 부여 부 다
하늘에서 부여한 권리
즉 사람이 태어나자마자 가지는 권리다
다음
자연권이다
국가에서 제도나 법으로 보장되기
어어엄청 전에 이미 있던 자연적으로
누구나 주어진 권리다
천부인권에서 자연적으로 전에부터 라는 말만
들어가있다
다음
보편적권리다
보편적이라는 말을 모르는 휴먼도 있을것이다
(나도 몰랐다. 그래서 구글에 서치해봤더니)
구글 왈 : 보편성을 띤 (것)
뭐 이런 개같은 의의인가
보편적을 검색했는데 보편성을 띤것이라고하면 누가 알아쳐먹는것인가
그러나 마음을 안정시킨후 (?)
보편성을 다시 검색해봤다
구글 왈 : 모든 것에 두루 미치거나 통하는 성질. 일반성
이번 의의도 개같은 경우지만 쉽게 풀면
일반적인것들 이라고 생각하면된다
피부색,성별,나이,사회적신분
이렇게 누구나 일반적으로 지닌것들을 말한다
이런것들을 평등하게 누구나 동등하게 가지는 권리를 말한다
다음
불가침의 권리다
먼가 쓸떼없이 웅장한 이름이다
국가나 다른휴먼이 침해할수없는 권리
예를 들어 밥을 먹는거를 다른휴먼이나 국가가 침해하면 누구나 삶을 포기할것이다(?)
자 _/_/_/_//_/_/_/_/_//_//_ 다음
인권보장의 중요성
인권보장이 왜 중요하냐
왜 인간의 존엄성을 실현하는 바탕이 되기때문이다
보장이 안되면 어떠하냐?
모든 사람이 길바닥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뒤지는
상황이 벌어진다
다음
인권보장의 역사적 전개
인권보장은 원래 부터, 역사적 부터 보장되지는 않았다
역사수업을 한번이라도 들어보거나
한번이라도 책을 펴본 독자라면
노예,농노와 같은 사람취급안하고 짐승취급을 받던 휴먼들이다
그때당시에는 그랬다
아무튼
세월이 흘러
근대 라는 시대가있었는데
그때 시민혁명이 일어났다.
인권보장을 얻기위해서
하지만 그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제도적으로 보장이 됬기때문이다
그당시 사회적 약자인 여성,노동자와 같은 휴먼들은 보장을 아예 받지도 못하였다
약자를 제외하고 나머지 시민들 모두는 보장받지못하고 일부분만 자유와 평등을 한계적으로 보장받았다
다음
UN이라는 국제기구는 간첩(?)이 아닌 이상 들어봤을것이다
바로 현대(현재) 에 세계인권선언을 UN이 채택을 하여 모든사람이 보편적으로 누려야할 기준들이 적용되었다
다음
슬슬 저자의 손에 무리가 오기시작한다
20분간 글을 쓰니 손이 한계가 온다
남은 헌법을 쓰면 끝난다...
자 다시 가보자
헌법은 한 나라의 최고의 법이다
즉 보스다
헌법에는 가장 중심이 되는 법이므로 기본적인 인권이 보장된 법이 규정(정해져있다)되있다
유식한척을 하겠다(?)
헌법 제 10조에는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
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해야하는 의무를 진다
얼마나 유식한가(?)
암튼
이 법을 보면 딱 생각해야한다
기본적인 인권을 보장하는 건 국가의 의무이다
다음
인권의 불가침성 규정이다
기본적 인권을 침해할수없는 권리로 규정하고있다
자 이제 끝났다
중간에 신경이 쓰이는 소리땜에 다 까먹었다
이래서 공부는 환경빨이다(?)
아무튼 끝이다
카테고리 없음
중3 1학기 사회 벼락치기 1단원 인권,헌법
728x90
SMALL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