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삼국에서 다양한 문화가 발전하다
불교를 이제 본격적으로 수용을 하기 시작합니다
불교의 수용은 왕실 주도로 수용이 되었고 이것을 이어서 지방 세력들이 포용을 합니다
백성의 사상을 하나로 통합을 하는것을 꾀었습니다.
☆☆ 시험문제에서 불교를 수용한 목적과 영향을 묻는 문제가 나올수있습니다☆☆
불교의 수용의 목적은 쉽게 말해 왕이 지가 더 관종(?)이 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불교에 부처는 즉, 왕은 부처다라고 믿게 하려는것을 더 할려고하는것입니다
그럼 시험 문제에서 만약
서술형에서 불교를 수용한 목적은 무엇이고,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서술하시오.
라고 나오면 답은
백성의 사상을 하나로 통합시키기 위해서(목적)
그러므로 모든 백성이 하나의 사상을 믿는다(영향)
라고 써주시면 됩니다.
불교 예술도 발달이 시작됩니다
우선
사찰
--> 사찰이란?
쉽게 말해 절,사원 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사찰은 백제 미륵사(무왕),신라 황룡사(진흥왕)
이 대표적입니다
현재는 터만 남아있고 건물자체가 오래되어 보존이 잘되지는 않았습니다
그 다음 순서로는
탑
탑이란 --> 롤에 나오는 탑C병자 같은것이 아닌(?) 에펠탑과 같은 그런 탑을 의미합니다
탑으로 대표적인것은
익산 미륵사지 석탑( 백제 ),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백제), 황룡사 9층 목탑( 신라 ) , 경주 분황사 모전 석탑( 신라) 등이 있습니다.
고구려에 탑은 너무 오래되어 터도 남아았지않고 존재하지않습니다
이거를 암기하는 방법은 앞에 글자를 따서 외우는것입니다
익백 , 부5백 , 황9신 , 경신
완전 악덕학교가 아닌 이상은 이름을 완전히 적으라는것은 안나오고 기호를 적는걸로 나올 가능성이있습니다
익(절) 백만원! (익절은 투자용어로 수익을 보고 파는 행위를 뜻합니다)
부(자는) 5백(만원이 아깝지않아)
황(토색) 9명의 bottle신(?)이라고 외우면 누구나 외우기 싫어도 외워질것입니다(?)
경(산) 신고자 (경산에 있는 신고자라고 외우면됩니다)
다음은 불상입니다
부처 불상 이런거를 뜻합니다
불상은 거의 나오는 확률이 희박하므로 그냥 교과서에서 하루 한번씩만 읽으면 됩니다
도교의 수용
도교 수용 ->> 중국에서 전래, 산천 숭배, 신선 사상과 결합 > 귀족 사회에서 유행
정리하자면 도교를 수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산천을 숭배하기 시작하게 되면서
신선 사상과 결합하게됩니다
*신선 사상 : 불로장생한다는 신선의 존재를 믿고, 자신도 신선이 되기를 추구하는 사상
평민보다는 귀족에서 유행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문화유산으로는 고구려 고분 벽화의 사신도, 백제 산수무늬 벽돌
백제 금동 대량로 등
그냥 이런게 있구나 라는것만 짚고 넘기시면됩니다
📏 이제 집중))
학문과 과학 기술이 발달 하기 시작했습니다
학문은 한자의 보급과 유학의 전래 배경으로 발달했습니다
유학교육
고구려 | 태학설립, 유교 경전과 역사를 가르침
백제 |오경박사가 유교경전,의박사,의박사가 교육
신라 | 젊은이들이 유교경전공부(임신서기석에기록)
임신서기석은 돌덩이에다가 유교교육에 충성을 약속할것을 세기는 각서입니다
역사서 편찬
고구려 : 영양왕때 신집편찬
백제 : 근초고왕때 서기편찬
신라 : 진흥왕때 국사편찬
쉽게 암기 : 고구려는 영양이 부족한 국가라고 신집이라는것을 제출해서 지원받았다.
쉽게 암기 : 백제는 근초고왕때 고구려의 고국원왕을 죽여서 서기라는 반성문을 쓴다.
쉽게 암기 : 신라는 진흥왕때 국(가)사(랑) 을 엄청 하였다.
과학기술은 천문학( 별자리,신라의 첨성대),수학지식활용,금속 공예, 장신구 등 발달하였습니다
-- 삼국과 가야인의 생활 모습은 다음 글에 이어서 올라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