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uby란?
Ruby는 일본의 마츠모토 유키히로가 만든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객체지향 언어라고도 불립니다.
- 객체지향 언어란?
예시를 들자면 우리의 몸과 비유를 해보겠습니다
우리의 몸은 순환계,배설계,소화계 등등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우리의 몸을 이루는 이것들 중에 하나라도 정상적으로 돌아가지 않는다면 인간은 살지 못하게 됩니다 모두 멈추지 않고 계속 진행되어야지만 우리는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객체지향 언어도 마찬가지입니다
프로그래밍에서 객체란?
데이터의 분산을 막기 위해 데이터와 기능을 하나로 묶은 게 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여러 많은 프로그램들이 다수의 객체를 만들면
애들끼리 서로 상호작용을 하면서 연결되게 됩니다
객체지향의 언어들은 이런 것들이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Ruby를 설명하겠습니다.
파이썬을 해보신 분들이라면 print() 함수가 하는 일이 무엇인지 아실 겁니다.
print 함수는 쉽게 말해 출력을 해주는 역할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Ruby에서도 prin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int "Hello Ruby"
이런 식으로 쓸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많이 쓰이는 puts입니다
puts는 print와 같은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puts "Hello Ruby"
동일한 값이 나오게 됩니다
_________________
#puts "1"
puts "2"
_________________
를 실행하게 되면 어떤 값이 나올까요?
1과 2가 나올 거라고 생각하시나요?
여기서 #이 1번째에 왜 붙는지 궁금해하실 겁니다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 세는 주석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주석이라는 건 어려운 게 아닌 그냥 메모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주석처리를 한 그 문장이 실행창에 뜨지 않게 됩니다
그러므로 위에 에서는 2라는 값만 출력이 됩니다.
Ruby에서는
=begin
#소스코드
=end
이런 식으로 길게 주석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또는 주석처리를 할 문장 앞에 #을 붙여주시면 됩니다.
----------------------------__------------------------__-----
이제 다음으로 배워볼 것은
모든 언어에서도 가장 첫 번째로 가리키는 것은 변수(Variable)입니다
변수를 쉽게 생각하면 하나의 상자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_____________
| |
| 변수 상자 | =?
| |
----------------------
변수를 지정(선언) 하기 전에는 이 변수라는 상자에다가 이름을 지어줘야 합니다.
예시로 x라고 짓겠습니다
그리고 이 x 박스에다가 값을 넣어줘야 합니다
5라는 값을 넣어보겠습니다
x = 5
이런 식으로 쓰게 됩니다.
수학에서는 등호(=) 표시가 같다는 표현을 쓰지만
프로그래밍에서는 오른쪽에 있는 값이 왼쪽 상자에다가 담기게 됩니다
그러면 x라는 상자에 5가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_____(x상자)___
| |
| 5 | <----- 5
| |
----------------------
puts 함수를 이용하여 x를 출력해보겠습니다
puts x
라고 치면 5라는 값이 나오게 됩니다.
가장 간단하고 기초적인 루비 문법에 대해 배워보았습니다